심정지 환자 발생 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자동심장충격기(AED) 설치 및 관리 의무화 등 심폐소생술 교육 강화로 심정지 환자 생존율은 증가했으나 여전히 선진국 대비 낮은 수준이라고 합니다. 이런 자동심장충격기는 요즘은 공장이나 작업현장, 공공장소 등에서 정해진 위치에 비치되어 있는 모습을 많이들 보게 되는데 작업 현장에서는 주기적으로 안전교육을 한다고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사용방법을 잘 몰라서 눈앞에 있으면서 골든타임을 놓치는 경우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 너무나 아쉬운 안타까운 상황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그래서 이번엔 자동제세동기(AED)의 사용법에 대해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대충 이렇게 쓰는 거구나 정도만 아셔도 현장에서 충분히 적용 가능하시니 끝까지 봐주시면 고맙겠습니다.
AED(자동심장충격기) 보관 위치 찾기
자동심장충격기는 공공장소에 상시 비취하게 되어있는데요, 눈앞에 보이지 않는다면 응급상황시 당황하기 마련인데 이때는 당황하지 마시고 주위분들 중 한 분을 지목하셔서 119에 신고를 부탁하시고 또 한 분을 지목하셔서 휴대폰으로 위치 찾는 사이트를 알려주면서 들어가서 심장충격기위치 좀 확인해서 가져 다 달라고 부탁하신 후 오실 때까지 심폐소생술을 시행하고 계시는 것도 방법일 수 있습니다. 응급상황에서는 지목을 해서 얘기를 하는 게 효과적이라고 합니다. 다들 당황하시고 계실 테니까요. 아래에 정보제공사이트 링크 걸어 두었습니다.
위 사이트에 접속을하면 자동심장충격기 찾기란이 있는데 거길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나옵니다.
이렇게 하트표로 위치가 확인가 확인됩니다.
AED(자동심장충격기) 사용 방법
1. 전원 켜기
우선 자동심장충격기(AED)를 물기가 없고 심폐소생술에
방해가 되지 않는 위치에 놓은 뒤에 전원 버튼을 눌러 전원을 겹니다.
2. 패드 부착
준비된 자동심장충격기(AED)의 패드를 부착부위에 정확히 부착합니다.
패드 1 : 오른쪽 빗장뼈 바로 아래 부착
패드 2 : 왼쪽 젖꼭지 옆 겨드랑이 부착
패드와 자동심장충격기 본체가 분리되어 있는 경우 연결하며,
패드 부착부위에 이물질이 있다면 제거합니다.
3. AED환자상태자체진단
"분석 중...."이라는 음성 지시가 나오면
심폐소생술을 멈추고 환자와 거리를 둡니다.
자동심장충격이 필요 없는 경우에는
"환자의 상태를 확인하고, 심폐소생술을 계속하십시오"라는 음성 지시가 나옵니다.
4. 전기 충격
"쇼크 버튼을 누르십시오"라는 음성 지시가 나오면
점멸하고 있는 쇼크 버튼을 눌러 자동심장충격을 시행합니다.
이때 쇼크버튼을 누르기 전에는 반드시 본인이나 다른 사람이
환자에게서 떨어져 있는지 확인하여야 합니다.
5. 심폐소생술과의 반복 시행
자동심장충격을 시행한 뒤에는 즉시 가슴압박과 인공호흡 비율을 30 : 2로 심폐소생술을 다시 시행하여야 하는데
최근 인공호흡은 시행하지 않아도 충분히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자동심장충격기는 2분마다 심장리듬 분석을 반복해서 시행하며, 자동심장충격기 사용과 심폐소생술 시행은 119 구급대가 현장에 도착할 때까지 반복 시행해야 합니다.
'다양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6,7월) 및 계좌개설 일정 / 신청방법 (1) | 2023.06.12 |
---|---|
보이스피싱 피해 대처법 당했을때 이것부터 하세요.피해금 돌려받는 방법 (0) | 2023.05.29 |
반디집, 다운로드 및 설치 방법/암호설정 방법 (0) | 2023.05.02 |
하나은행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조건 및 방법 (0) | 2023.04.27 |
댓글